충남 서산시의 유일한 시내버스 업체인 서령버스가 14일 운행을 중단하자 서산시가 비상수송체제에 들어갔다.
김일환 서산시 건설도시국장은 이날 긴급브리핑을 갖고 “서령버스는 시의 사전 승인 없이 임의로 운행을 중단했다. 명백한 불법 행위”라고 했다.
김 국장은 서령버스가 지난해 약 1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받았음에도 방만한 경영으로 보조금 부족을 호소하며 파업에 들어갔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령버스는 서비스 수준이 열악함에도 대표이사 인건비로 충남 평균인 8900만원을 웃도는 1억4600만원을 지급했다”며 “관리직 인건비도 인접 시·군 대비 50% 이상 높다. 또 외주 정비비는 63%, 타이어비는 80% 높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의 자구책 마련 요청에도 보조금 부족을 핑계로 상습적으로 파업을 예고하며 시를 압박했다”며 “서령버스의 벼랑 끝 전술에 절대 굴복하지 않고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구상 부시장을 본부장으로 비상수송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시청 관용차량 등 투입 가능한 차량을 총동원해 읍·면 소재지에는 전세버스를, 마을에는 택시를 운행한다.
교육청·군부대·어린이집·요양병원 등에도 차량 동원을 요청하고 인근 시·군에서도 차량을 임차할 예정이다.
교육청에는 등하교 시간을 조정하고 조기방학 등을 적극 실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학생들의 불편과 학습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등하교 시간대에는 임시 수송차량을 집중 배치하기로 했다. 각 기관 및 기업체에도 시차 출퇴근을 요청할 계획이다.
시민들에게는 출퇴근 및 등하교 시 승용차 함께 타기,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거나 자전거 이용하기 등에 적극 참여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 국장은 “지역 시내버스의 병폐를 없애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뼈아픈 시간으로 삼겠다”며 “시민 여러분들께서도 적극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산=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