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조성을 추진 중인 ‘KTX 세종역’의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용역 결과가 나왔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역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충북도는 세종역 신설이 충청권 상생발전을 저하하는 행위라며 즉각 반대입장을 내놨다.
시는 ‘세종시 KTX 타당성 검토용역’을 통해 KTX 세종역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비용대비편익(B/C) 수치가 1.06으로 나왔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2020년 수행한 용역에서 도출된 0.86보다 0.2 증가했다.
B/C 값이 높아진 이유는 거주인구 증가,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미래 통행량 증가 등으로 국가교통수요예측(국가교통DB)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국회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은 아직 실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만큼 이번 교통수요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역사 위치는 BRT 및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와의 연계성, 도심 접근성 등을 고려한 결과 금남면 발산리 일대가 최적지로 나타났다. 이곳은 오송역·공주역에서 각각 22㎞ 떨어진 중간지역이다.
조치원역에 KTX를 정차시킬 경우 B/C가 0.5 미만에 불과한 만큼 시는 조치원역 정차보다 KTX 세종역 설치에 집중하기로 했다.
올해 안으로 타당성 검토용역 결과와 시민 대상 서명운동 결과를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고성진 세종시 미래전략본부장은 “정부 및 인근지역과 적극 협의해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며 “KTX 세종역은 국회의사당과 더불어 미래전략수도 완성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이다. 세종시는 물론 충청권 상생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국회와 적극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시의 용역 결과 발표에 대해 충북도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도는 국내 유일의 고속철도 분기역인 오송역이 세종시 관문역으로 자리 잡았는데 세종역을 신설하면 충청권 상생발전이 저해되고 오송역이 쇠퇴한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세종시의 용역 결과는 국토부의 검증 절차가 필요하다”며 “역사 위치, 건설 방식이 기존과 동일해 안전성과 고속철도 운영의 효율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청권 상생에 위배되는 세종역 설치에 대해 분명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국토부 검증 과정에 반대 의견을 전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세종·청주=전희진 홍성헌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