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경남 출신 미서훈 독립운동가 20명과 경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4명에 대한 독립유공자 포상신청서를 국가보훈부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지난 6월 구성된 경남도 독립운동가 발굴 및 서훈신청 전담조직은 388명의 독립운동 관련 독립유공자 포상 필수 자료인 행형기록(형 집행과정 기록물로 판결문, 형사건부, 수형인명부 등)을 찾아냈다.
이 가운데 당시 신문 기사나 관련 문헌을 통해 구체적인 독립운동 공적이 확인된 독립운동가 24명을 포상 신청한다.
도는 독립운동가 중 친일행적, 이적행위 등 사유로 포상신청 탈락한 사실이 있었는지를 국가보훈부에 사전 확인한 후 대상자를 선정했기 때문에 대부분 독립유공자 포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포상신청 대상자 가운데 박소수, 김성선 선생은 1919년 당시 14세의 나이로 밀양공립보통학교 학생 20~30명을 규합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연행돼 각각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진주 출신 하남식(1885년 2월24일 생) 선생은 임시정부 요원으로 경남단을 조직하고 독립운동자금 출자를 위해 활동하는 중 체포돼 징역 1년6월의 형을 선고받았다.
이 외 백정기(창원), 오경팔(창원), 감태순(창원), 박성오(진주), 이영규(진주), 천명옥(진주), 강대익(사천), 김성도(김해), 장준식(밀양), 장춘식(밀양), 전병한(양산), 노오용(의령), 이태수(의령), 윤보현(함양), 정순귀(함양), 최석룡(함양), 김수천(거창), 손치봉(합천), 김도운(영천), 이봉정(김천), 홍태현(황해도) 선생도 목숨을 걸고 일제에 맞서 싸운 독립운동가들이지만 그동안 객관적인 입증자료가 없어 서훈받지 못했던 분들이다.
포상신청에 필요한 서류인 공적조서와 평생이력서 등은 당시 독립운동가들 스스로 기록을 숨겨야 했으며 일제에 의해 독립운동이 지워지거나 축소, 왜곡됐기 때문에 공적 내용과 자료를 찾는 일이 쉽지 않아 국가로부터 독립유공자로 인정받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도완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주변에 아직도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가 있으면 적극적인 제보를 당부한다”며 “한 명이라도 억울한 독립운동가와 유족이 발생치 않도록 독립유공자 포상신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내년 사학전공 기간제 근로자 2명을 추가 채용해 독립운동가 발굴과 포상신청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