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정어리’ 고소득 어종 전환 등 수산업 성장기반 마련

입력 2023-12-14 11:19
지난해 9월 마산만에 떠오른 정어리 폐사체.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올 한해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을 만들고 수산업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발굴·추진했다고 14일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속에서도 어업인들과 현장 소통을 강화하고 해양생태계 회복과 수산업계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편 도민이 믿고 소비할 수 있도록 경남 수산물 안전 확보를 통해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해양수산 기반을 다졌다.

도는 먼저 고수온 등 해양환경 변화로 인해 정어리 개체수가 306% 급증함에 따라 정어리를 신속 포획해 사료 개발 등 자원화로 해외수출, 연안선망·정치망 등 수산업계 고소득 창출 기여와 조기 포획을 통해 정어리 폐사 피해를 최소화했다.

이와 함께 정어리포, 젓갈, 통조림 가공식품 개발을 추진해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고, 해수부에 집단 폐사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건의하는 등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경남 수산물 수출이 대 일본의 점유율 32% 증가로 올해 목표액인 2억5000만 달러를 초과 달성이 예상된다. 올해 11월 기준 경남 수산물 수출액은 2억36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였던 2011년 2억4400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도는 전국 생산 1위 품목인 굴, 붕장어, 피조개 등이 도내 수산물 수출을 견인하면서 11월 기준 전국 수산물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7%나 감소했음에도 경남의 수산물 수출액은 4.5%나 증가했다.

이외 도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에 선제적이고 종합 대응해 전국 최초로 도민 참관 수산물 방사능 검사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도록 도민 안심 소통을 강화했다.

또 수산물 소비위축 심리로 인한 수산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전국 최초로 예비비 16억원을 편성, 이 중 예비비 8억원을 투입해 대형 유통 플랫폼 기업과 수산물 소비촉진 기획전을 추진해 온라인 매출 49억원, 이마트10억원 등 수산식품 매출 달성을 했다.

미 FDA 현장 점검. 경남도 제공

도는 또 미국 FDA 점검에 빈틈없이 준비해 수산물 안전성을 검증받아 한·미 패류 위생 양해각서 유효기간을 오는 2028년 6월까지 5년간 연장에 성공해 도내 패류의 안정적 수출 판로를 확보했다.

또 올해 2월 해양수산부와 남해안 3개 시·도와 함께 남해안권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발판으로 영국을 출발하는 클리퍼 세계일주 요트대회 유치 협약을 체결해 남해안 해양레저관광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