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면 북핵 동결 대가로 경제제재 완화 등을 제공하는 거래를 구상 중이라고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세한 설명 없이 ‘가짜뉴스’라고만 일축했다.
폴리티코는 13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도록 허용하고, 추가 개발을 중단하는 대신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트럼프 전 대통령 대북 구상을 브리핑받은 3명의 익명 인사를 인용해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또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동결하고 새로운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면 그에 대한 검증 수용을 요구하고, 대신 대북 경제제재 완화나 다른 형태의 일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트럼프 전 대통령 구상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경우 북한의 비핵화는 장기 목표로 추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폴리티코는 “이는 북핵 문제에 대한 과거 입장에서 급격히 벗어난 것”이라며 “재임 기간 이례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발전시킨 북한 지도자 김정은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트럼프는 내년 재선에 성공하면 북한의 핵무기를 해체하라고 김정은을 설득하는 것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다”며 “그의 동기는 쓸데없는 무기 협상에 시간 낭비를 피하고 대신 중국과의 경쟁이라는 더 큰 과제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즉각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서 “익명 소식통들을 통해 북한 핵무기에 대한 내 관점이 완화됐다고 했는데, 이는 ‘지어낸 이야기’이자 허위정보”라며 “잘못된 쪽으로 이끌고, 혼란을 초래하려는 민주당 공작원들의 소행”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기사에서 단 하나 정확한 것은 내가 김정은과 잘 지낸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폴리티코는 이에 대해 “트럼프는 종종 측근에게 전화하거나 그들을 불러서 자신의 법적 문제나 경제 상황, 외교 정책 등 자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에 이야기한다”며 “핵 동결 시 인센티브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부인하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 다만 “차기 행정부 출범까지 1년 이상 남았고, 그전까지 북미 관계는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트럼프 생각도 측근과 고문 논의를 통해 변화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