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공무원에 대한 감정노동실태를 처음 조사한 결과 이들의 감정노동 수준이 대부분 ‘위험’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실효성 있는 보호‧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사혁신처는 공무원의 직무수행과 관련한 감정노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 1만98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등을 활용해 9월 이뤄졌다.
조사 결과, 공무원들의 감정노동 수준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위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외부관계자와의 갈등 등으로 인한 정서적 손상·감정적 어려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정 부조화’ 분야에선 남성(9.4점)과 여성(10.1점) 모두 위험 수준이었다. 이들은 조직 차원의 관리 등 보호체계에 대해선 남성(11.1점)·여성(12.1점) 모두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감정노동 원인으로는 장시간 응대나 무리한 요구로 인한 업무 방해가 31.7%로 가장 많았고 폭언·협박(29.3%), 보복성 행정제보·신고(20.5%)가 뒤를 이었다. 공무원들은 감정노동 대응 방법으로 외부 지원을 받아 해결하기보다는 개인적으로 참아서 해결(46.2%)하는 비율이 높았다. 특히 감정노동이 신체·심리적 질병으로 발현되는 경우 대부분(61.1%)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고 있어 건강관리도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인사처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고위험군에 대한 치료 지원이나 기관 차원의 법적보호 강화·건강 검진비 지원 확대 등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공무원이 건강해야 정부의 생산성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지원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