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식업체 10곳 중 4곳 가까이가 매장보다 배달 가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인으로 점주들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들었다.
경기도는 도내 외식업체 1080곳의 외식 온·오프라인 가격비교 및 인상요인 점검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080개 외식업체(메뉴 수 기준 5364개)의 배달앱과 매장 판매가격을 비교한 결과 39.4%에 이르는 426개 업체(메뉴 수 기준 1572개, 29.3%)에서 가격 차이가 발생했다.
배달앱 가격이 매장 판매가격보다 높은 경우가 91%로, 최소 70원에서 최대 8000원까지 비쌌다. 배달앱 가격이 매장 판매가격보다 낮은 경우는 9%에 그쳤다.
외식 물가 인상 부담 요인에 대해 점주들은 가장 큰 부담으로 ‘배달앱 중개수수료’(75%)를 꼽았다.
이어 배달비용 부담(51%), 카드수수료(46%) 순이었다(중복답변가능).
이러한 이유로 점주들은 경기도의 공공배달앱인 배달특급의 활성화를 건의했다.
소상공인들은 배달특급 이용 시 민간배달앱에 비해 저렴한 중개수수료(1%)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 소비자들은 배달특급에서 결제 시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대 15% 등의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도는 배달앱 중개수수료와 관련해 배달앱사와 배달대행사에 과도한 배달 수수료에 대한 개선을 요구할 예정이다.
허성철 도 공정경제과장은 “외식업체 소상공인들의 부담요인에 대한 보완 정책이 필요하고 소비자 역시 정확한 정보를 인지해 구매시 합리적인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