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주민소환제 서명 운동과 관련 “도민들의 비판과 충고를 무겁고 또 겸허히 받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13일 기자들과 만나 “충북의 도약과 발전을 위해 모든 기득권과 정파적 판단을 뛰어넘어 용서하고 화해하는 충북 대통합 시대를 열겠다”며 “충북이 대한민국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국민통합의 중심이 되어야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저와 생각을 달리하는 분들과 만나 도정에 참여하고 협력해 줄 것으로 요청하겠다”며 “충북이 대한민국의 중심에 우뚝 설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파와 진영을 넘기 위한 도민과의 소통을 더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정치적 책임을 묻는 주민소환제 서명운동을 전날 마감됐다.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직후인 지난 8월 김 지사 주민소환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충북 유권자 10%(13만5436명) 서명과 11개 시·군 중 4개 시·군 10% 이상 서명 등 주민투표 시행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서명운동 성적은 오는 18일 공개될 전망이다.
주민소환제는 정책 실패, 무능, 비리 등 사유를 불문하고 선출직 공직자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묻는 제도이다.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는 지난해까지 청구된 주민소환 125건 중 투표가 진행된 것은 11건에 그쳤다. 대부분이 서명인 수를 확보하지 못해 자체 종결됐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