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망 마비 사태·北 위협 가중…서울시, EMP 방호 체계 구축 나선다

입력 2023-12-12 17:39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북 EMP 위협과 서울 도시기능 유지방안 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최근 전국적인 행정망 마비 사태 등을 겪으면서 비상 상황 발생 시 도심 주요시설의 전기·통신·데이터 등 제반 기능 유지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북한에 의한 EMP(전자기펄스) 공격 시 통신망 마비를 넘어 상하수도·정전 등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서울시가 전문가들과 대응 방안 논의에 나섰다.

서울시는 12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북 EMP 위협과 서울 도시기능 유지방안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핵 및 비핵 EMP의 위협과 세계적 동향, 방호 관련 기술적 수준 등을 공유하고 EMP 공격 시 전기·통신·데이터 등 서울시 기반시설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북한군사연구실장은 서울 상공에서 핵 EMP 폭발 시에는 전국적 정전사태나 통신망·인터넷 마비뿐 아니라 비행 중이던 항공기가 추락하거나 상하수도 기능 마비로 전염병이 창궐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쟁이나 테러뿐 아니라 재난과 사고까지 동시에 대비할 수 있는 K-인프라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시 EMP 위원회 설립, 도시형방호체계용 K-인프라 시제품 개발 및 주요시설 시범 적용 등을 진행 등을 기반으로 한 ‘서울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최낙중 전 국군지휘통신사령관 역시 KT 과천 관제센터 등을 예로 들면서 중앙집권화된 시스템에 대한 취약점을 지적하고 분산된 체계 등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외주형태로 이뤄지고 있는 IT 시스템 관리 분야에 대해서도 핵심 기능과 관련해선 조직 내부에 인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민경령 스페이스앤빈 대표는 서울형 EMP 방호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 개발 투자와 함께 자체 EMP 방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했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환영사를 전한 후 토론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그는 앞서 지난달 28일 개인 SNS를 통해 “EMP 공격과 사이버 테러, 전력 차단 등 각종 테러 상황에도 대비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힌 만큼 서울시 역시 포럼을 시작으로 관련 방호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행정망 마비 사태나 EMP로 인한 공격이나 결과는 똑같다”면서 “포럼에서 제안된 내용을 참고해 용역 등을 거쳐 정책적으로 이런 일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