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싱(돌아온 싱글)이 재혼을 망설이게 되는 가장 큰 이유에 대해 남성은 ‘상대방에게 빈대 근성이 있을까봐’라고, 여성은 ‘상대의 뒤치다꺼리를 할까봐’라고 각각 답했다.
11일 재혼정보업체 온리-유는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와 공동으로 지난 4~9일 전국 재혼 희망 남녀 516명(남녀 각 25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재혼을 선뜻 결심하지 못하고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남성 응답자의 32.2%는 ‘빈대 근성 있을까봐’라고, 여성은 31.0%가 ‘뒤치다꺼리 할까봐’라고 답해 각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남성은 이어 ‘(책임은 등한시하고) 권리주장만 할까봐’(29.5%) ‘사기꾼 만날까봐’(18.2%) ‘고루한 여성 만날까봐’(13.9%) 순으로 답했다. 여성은 ‘사기꾼 만날까봐’(28.3%) ‘고루한 남성 만날까봐’(19.0%) ‘권리주장만 할까봐’(14.7%)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재혼 상대를 고를 때 초혼 때보다 훨씬 더 많이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남성은 ‘자기관리 상태’(28.7%)와 ‘경제관념’(26.0%)을, 여성은 ‘노후 대비 상태’(34.1%)와 ‘너그러움’(25.2%)을 각각 1, 2위로 꼽았다. 3위는 남녀 모두 ‘상대 존중’(남 19.0%, 여 17.4%)이라고 답했다. 뒤이어 남성은 ‘노후 대비 상태’(18.2%), 여성은 ‘자기관리 상태’(15.1%)를 4위로 언급했다.
‘재혼 맞선에서 상대에게 어떤 장점이 있으면 대화를 하면 할수록 호감도가 높아지느냐’는 질문에는 남성의 경우 ‘밝은 표정’(28.7%), 여성의 경우 ‘풍부한 상식’(27.5%)을 들었다. 뒤이어 남성은 ‘칭찬 습성’(24.7%) ‘겸손한 태도’(22.1%) ‘풍부한 상식’(16.7%) 순으로 답했고, 여성은 ‘칭찬 습성’(25.3%) ‘밝은 표정’(21.3%) ‘순발력’(17.4%) 순이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