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0일 실시되는 총선에 나설 예비후보자 등록이 선거일을 정확히 120일 앞둔 12일 시작된다.
그러나 여야는 아직 선거구 획정조차 합의를 보지 못했다.
이에 현역 지역구 의원에 비해 인적·물적 열세에 놓인 정치 신인들은 분노와 울분을 토해내고 있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현행 253개 지역구를 기준으로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된다.
그러나 지금의 253개 지역구 중 일부는 포함되는 구역과 경계가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공직선거법은 인구가 가장 많은 선거구와 가장 적은 선거구의 인구 비율을 ‘2대1’ 이하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앞서 선관위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인구 변화를 반영해 지난 5일 총 32개 선거구를 변경하는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합구와 분구가 각 6곳, 지역구 구역 조정이 5곳, 자치구·시·군 내 경계 조정이 15곳 각각 포함된 안이다.
획정안이 확정되기 위해선 여야 합의를 거쳐 본회의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 7일 첫 회의가 열린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여야는 이견만 재확인했다.
다음 회의 날짜도 미정한 상태다.
정개특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통화에서 “선거구 획정도 문제지만 비례대표제 등 여타 선거제도 개편 문제와도 맞닿아 있어 시간이 더 지연될까 걱정”이라고 밝혔다.
이런 상황을 맞이한 정치 신인들은 울상이다.
지역구 조정이 거론되는 한 지역구에서 출마를 준비하는 민주당 소속 A씨는 “동 별로 진행되는 행사가 많은데,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높은 지역까지 가야 할지 애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개에 7만원 짜리 현수막을 매번 40개씩 거는데, 지역구에서 배제될 수 있는 동네에도 계속 사비를 들여 걸 수밖에 없다”면서 “현역 의원이나 지역위원장은 현수막 비용도 당비로 충당하니, 불평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역시 지역구 조정 가능성이 큰 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을 출마를 준비하는 이민찬 국민의힘 부대변인은 “뒤늦게 선거구가 바뀌면 기존 선거구를 기준으로 얻은 사무실 이전 문제 등 여러 행정적인 난관에 봉착할 수 있다”며 “여야가 말로는 ‘청년 정치인 양성’을 외치면서 정작 청년들이 필요한 제도엔 뒷짐을 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서울 중구·성동구갑 출마를 준비하는 민주당 소속 박양숙 전 서울시 정무수석은 “지역구 주민들도 자신이 어떤 지역구에 속하게 되는지 몰라 혼란스러워 한다”며 “선거구가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니 불안한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동환 박민지 신용일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