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운항 지연?”… 티웨이 ‘탄 냄새’로 8시간 발묶여

입력 2023-12-11 11:30

티웨이항공의 여객기 기체 문제로 인한 운항 지연 사태가 여러 차례 반복되면서 승객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지난 4개월간 운항 지연만 5차례였다. 최근에는 승객 185명이 기체 결함으로 8시간 넘게 여객기에 발이 묶였다.

1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40분(현지시간) 태국 방콕 돈므앙공항에서 출발해 청주공항으로 향하려던 티웨이항공 TW184편 여객기의 이륙이 8시간 넘게 지연되고 있다. 승객 185명을 태운 채 이 여객기는 이륙 직전 탄 냄새가 나면서 긴급 정비에 들어갔다. 티웨이항공은 엔진 결함에 따른 출발 지연으로 보고 있다. 정비가 더 길어질 경우 결항 처리하고, 대체 항공편을 현지에 보낼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일에는 베트남 나트랑에서 청주공항으로 향하려던 189석 규모의 TW156편이 기체 고장으로 정비를 받은 뒤 8시간가량 지연 출발했다. 또 지난 10월 30일에는 인천에서 출발해 괌으로 향하던 TW303편이 긴급 안전점검차 회항했다. 같은 달 중순에는 베트남 다낭공항에서 출발해 대구공항으로 향하던 TW130편이 기체 결함으로 이륙 30여분만에 회항해 7시간40분가량 지연됐다. 지난 8월에는 베트남 나트랑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으로 오려던 TW158편이 기체 이상으로 이륙이 지연되다 끝내 결항했다.

이는 모두 기체에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항공업계에서는 티웨이항공이 노선 확장 및 공급 확대에만 급급해 정작 항공기 점검 및 정비에 미흡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안전 투자 공시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의 올해 안전 투자 계획 규모는 1177억원으로, 진에어(4774억원), 제주항공(4020억원), 에어부산(1910억원) 등 국내 4대 저비용항공사(LCC) 중 가장 적었다. 진에어가 항공 안전을 위해 3917억원, 에어부산이 2602억원을 투자할 때 티웨이항공은 361억원을 쓰는 데 그쳤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