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7일 “15일까지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에서 위성정당 방지에 대한 제도개선을 합의해 줄 것과 여당이 이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일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기한을 넘어서도 합의가 안 될 경우에는 그에 따른 민주당의 판단을 다시 한번 해야 될 시점(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폐해 중 하나인 위성정당 난립을 막기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와 위성정당 방지는 이재명 대표의 대선 때 공약이기도 했다.
그러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시 위성정당을 창당하겠다는 입장인 국민의힘이 민주당의 이같은 요구에 응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홍 원내대표의 이날 발언이 민주당이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회귀하기 위한 포석을 깐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위성정당 방지 제도개선에 국민의힘이 응하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하면서 병립형 비례대표제 회귀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명분’ 쌓기에 나섰다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 내에서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와 병립형 비례대표제 회귀를 두고 의견이 맞서고 있다.
한편 홍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를 지명한 데 대해 “검찰 수사하듯 방통위를 좌지우지하며 방송을 장악하겠다는 대통령의 선전포고”라며 지명철회를 촉구했다.
홍 원내대표는 김 후보자에 대해 “방송·통신 등 관련 분야 경력이라고는 전무하다”며 “이동관 체제로 망가진 방통위의 위상과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국민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어 “김 후보자는 특히 MB(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수사에 면죄부를 준 책임도 있기 때문에 더 부적절하다”면서 “대통령은 더 늦기 전에 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고 방송·통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사를 지명해 줄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말했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