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한·일 국제세미나…지방소멸 위기 대응 전략 모색

입력 2023-12-07 14:36 수정 2023-12-07 15:16
7일 창원 그랜드머큐어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지방소멸 위기시대 창원시 대전환 한·일 국제세미나’에 참석한 홍남표 창원시장(오른쪽 네번째) 등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창원시정연구원과 창원시, 시의회가 공동 주최한 ‘지방소멸 위기시대 창원시 대전환 한·일 국제세미나’가 7일 창원 그랜드머큐어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새로운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전략이 요청되는 시대에 창원시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한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고 새로운 정책 전환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세미나 첫 번째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선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략적 투자를 통해 새로운 남해안권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남해안권에 스마트 그린 융복합 거점을 조성해 새로운 성장 경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와무라 카즈노리 토호쿠대학 교수는 ‘일본 지방의 인구감소와 자치단체 대응’에서 인구감소 시대에 있어 가네자와시와 타가오카시의 사례를 통해 신칸센 등 교통인프라와 지방대학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강조했다.

특히 신 지역의 ‘강점’을 부각하면서 교통인프라를 강화하고 지방대학이 청년인구의 외부유출을 막는 댐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인구감소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구본우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창원에서의 인구감소와 청년 유출은 적정 직업 기회의 제약, 주거환경 불균형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 이에 과거의 성장거점 산업도시의 모델에서 벗어난 다양한 가치 창출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창원은 비수도권 유일 100만 특례시로 정부의 지방분권, 균형발전의 본보기로 자리매김해왔으나 지금 추세라면 인구 100만명 유지가 힘든 상황”이라며 “창원이 청년들이 머물고 배우며 꿈꾸는 미래형 자족도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