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출범 42일 만에 활동 조기 종료를 선언했다. 당초 오는 24일까지 활동 예정이었으나 2주가량 종료 시점이 앞당겨졌다.
7일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마지막 혁신위 회의를 마친 뒤 “국민 눈높이에서 국민이 뭘 원하는지를 잘 파악해서 우리는 50% 성공했다. 나머지 50%는 당에 맡기고 기대하며 좀 더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인 위원장은 “맨 먼저 윤석열 대통령에게 감사드린다”며 “혁신위가 끝나기 전에 개각을 일찍 단행해서 좋은 후보들이 선거에 나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줬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이어 “김기현 대표에게 감사드린다”며 “혁신위원장을 맡는 기회를 주고, 정치가 얼마나 험난하고 어려운지 알아볼 기회를 줘서 많이 배우고 나간다”고 했다.
혁신위는 1호 혁신안으로 당원권 정지 징계를 받은 이준석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등에 대한 징계 해제를 건의했다.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포기,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컷오프(공천 배제) 등 제안도 총선기획단에서 수용됐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제안으로 꼽혔던 지도부·중진·친윤(親尹) 인사들의 불출마 혹은 험지 출마 요구를 놓고서는 당 주류 진영과 갈등을 빚어왔다.
혁신위는 당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입장 표명을 요구했지만 당 지도부는 적절한 시기와 절차를 봐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같은 ‘주류 희생’ 혁신안을 두고 갈등하던 인 위원장과 김 대표는 전날 회동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양측이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취하며 ‘원만한 결별’을 꾀한 것이란 해석을 내놨다.
정해용 혁신위원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혁신위가 해야 할 일들은 다 했다”며 “조기 해산보다는 활동 종료로 봐달라”고 말했다.
정 혁신위원은 ‘빈손 혁신위’ 비판에 대해 “어제 김기현 대표가 혁신위가 제안한 안건을 공천관리위원회 등 여러 절차를 통해 녹여내겠다고 분명히 말을 했다”고 강조했다.
혁신위는 오는 11일 최고위원회의에 혁신안을 최종 보고한다. 이와 함께 혁신위 활동 내용을 담은 백서를 제작하기로 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