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병원의 일반·요양 병상이 앞으로 2만개 이상 과잉 공급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지역 내 신설 병원 건립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제3기 부산시 병상 수급 관리계획안에 따르면 2027년 기준 부산의 일반 병상은 2만7087개가 공급될 것으로 예측됐다.
시는 2027년 수요 예측에 따른 적정 병상수가 약 1만5000~1만6000개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1만개 이상의 병상이 과잉 공급될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산의 일반 병상수는 2만2732개로, 현재도 환자 수보다 병원 병상수가 더 많은 상태다. 이는 재활병원, 한방병원 등을 제외한 수치로, 실제 병상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같은 상황은 요양 병상도 마찬가지다. 부산의 요양 병상은 지난해 말 기준 3만1699개지만 병상 수급 조정을 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면 2027년 3만3491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적정 수요가 2만4000개 정도임을 고려하면 1만 병상이 남아돌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환자 수요에 비해 병상이 많아진 것은 병원 설립 과정에서 병상에 대한 별도 규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병원 개설허가권도 구·군에 위임된 탓에 시에서 총괄적으로 제어하지 못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심의를 거쳐 내년부터 시가 병원 허가 권한 등을 갖게 되면서 신규 병상 신·증설 절차를 강화할 예정이다.
다만 공공분야·소아 응급·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 병상에 대해서는 의료기관개설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증설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이와 관련해 시는 이날 오후 롯데호텔 부산에서 부산시병원회 소속 회원병원 대표자, 유관기관 대표자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제3기 부산광역시 병상 수급 및 관리계획(안) 설명회’를 개최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