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201호 큰고니가 전남 순천만 인근에 조성된 새섬매자기 복원 습지에서 먹이활동을 시작했다. 먹이가 자라나자 큰고니가 돌아온 것이다.
전남 순천시는 겨울 철새인 큰고니의 먹이원인 새섬매자기를 복원한 농경지에서 큰고니가 먹이 활동을 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고 4일 밝혔다.
지난달 5일 큰고니 7마리가 순천만갯벌과 하천에서 관찰됐으나, 새섬매자기 복원 습지에 나타나 먹이 활동을 한 것은 처음이다.
새섬매자기는 갯벌 등에 사는 염생 식물로, 큰고니는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즐겨 먹는다.
그런데 새섬매자기의 자생 면적이 줄자 순천만에서 월동하는 큰고니의 수도 함께 감소해 왔다. 순천만에서 월동하는 큰고니는 2012년 176마리까지 관찰됐으나 점차 줄어 지난해에는 자취를 감췄다.
순천시는 이에 대응해 올해 초부터 새섬매자기 복원 사업에 착수했다. 새섬매자기 종자를 손 모내기 방식으로 농경지에 옮겨 심는 방식이었다.
새섬매자기를 육묘장에서 키워 습지에 이식하는 기존의 방식과 차별화한 것이다. 순천시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새섬매자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순천시는 큰고니의 서식 공간을 확대해 갈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특정 종을 보존하기 위해 먹이원을 복원해 나가는 일은 결국 (지역 전체의) 자연성을 회복하는 일”이라며 “순천만을 넘어 도심 가까이에서도 야생동물과 인간이 교감하고 공존하는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이서현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