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국공군이 지난달 6~24일 싱가포르의 파야레바르 공군기지에서 싱가포르 공군과 ‘코만도 슬링’을 전개한 사실이 4일 알려졌다. ‘코만도 슬링’은 1990년부터 미군과 싱가포르 공군이 매년 실시하는 연합훈련이다. 군 당국에 따르면, 경기도 오산에 주둔한 미 7공군 제51전투비행단(미 51전비) 산하 F-16 ‘파이팅 팰컨’ 전투기 6대와 조종사, 그리고 제36전투비행대대 소속 정비사 90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그러나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것이 핵심 목표인 주한미군이 한반도 밖에서 제3국 군대와 연합훈련을 한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주한 미 공군이 다국적 연합공군훈련에 참여하더라도 훈련 장소는 미국 네바다주 넬리스 공군기지 등 대부분 미국 영토였다.
이와 관련해 중국 견제 등 역외 임무 수행을 위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화 차원에서 이번 훈련이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미국은 2006년 한·미 외교당국 간의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합의 이후 주한미군을 한반도에 붙박이로 두지 않고 분쟁지역 등에 신속히 투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중 갈등이 첨예한 대만이나 중동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주한미군이 차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북한이 주한미군의 공백을 틈타 군사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또 미군이 다른 지역의 분쟁에 개입하면서 한반도를 발진기지나 후방지원기지로 활용할 경우 한국이 국제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 주한 미 공군 관계자는 “인근 태평양 지역 다른 국가들과도 훈련한 적이 있다”면서 “한국에 대한 확고한 방어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권중혁 박준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