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진 사의 배경에 대해 “거야(巨野‧거대 야당)의 압력에 떠밀려서도, 야당 주장처럼 정치적 꼼수도 아니다. 오직 국가와 인사권자인 대통령을 위한 충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말을 맺을 때 “마지막으로 한 말씀을 드린다.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1일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면책안 재가를 받은 뒤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거대 야당이 국회에서 나에 대해 추진 중인 탄핵소추가 이뤄지면, 그 심판 결과 나올 때까지 몇 개월이 걸릴지 알 수가 없다. 그동안 방통위가 사실상 ‘식물’ 상태가 되고, 탄핵을 둘러싼 여야 공방 과정에서 국회가 전면 마비되는 상황은 내가 희생하더라도 피하는 게 보직자의 도리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거대 야당이 숫자의 우위를 앞세워 밀어붙이는 탄핵소추의 부당성에 대해 이미 국민 여러분께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탄핵소추는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국정 책임을 지는 입장에서 대의를 우선해야 한다”고 사퇴 배경을 부연했다.
또 “국회 권한을 남용해 마구잡이로 탄핵을 남발하는 민주당의 헌정질서 유린 행위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그 부당성을 알리고 계속 싸워나갈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이 거야의 횡포에 대해 준엄한 심판을 내려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어떤 자리에 있더라도 한국의 미디어 강국 도약과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단상에서 발언을 끝낼 때 “마지막으로 한 말씀을 드린다”고 특별히 강조하며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이라고 했다.
앞서 국회는 지난 30일 더불어민주당에서 제출된 이 위원장에 탄핵소추안을 보고했다. 국회법상 탄핵소추안은 보고되고 24시간 뒤부터 72시간 안에 국회 본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로 표결해야 한다.
국무위원 탄핵소추안은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150명) 찬성으로 의결된다. 168석으로 과반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은 당론으로 가결을 끌어낼 수 있다.
이 위원장은 같은 날 늦은 오후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사의를 밝혔다. 국회에서 탄핵안이 통과되면 자신의 직무 정지에 따라 방통위 운영에 공백이 생길 것이라고 판단해 스스로 물러날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이 위원장의 사의를 수용해 면직안을 재가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이상인 부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