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30일 의원총회를 열고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를 두고 난상토론을 벌였다. 비례대표제와 관련해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하자는 주장과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돌아가자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이번에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 개편안을 논의했다. 의총은 약 2시간 30분가량 진행됐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의총이 끝난 뒤 “의원들 입장이 거의 반반이었다"라면서 "오늘 논의는 연동형이나 병립형이냐의 문제는 좀 더 이야기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많은 의원이 특정 제도가 선이고, 악이라고 판단하지 않는다”며 “약속을 파기할 경우 약속 파기에 대한 국민적 사과나 합당한 이유를 제시할 필요가 있고 가급적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 의견을 모아 입장을 최종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요한 건 좋은 제도를 충분히 여야 간 숙의를 거쳐 합의할 수 있고 국민적 공감대가 가능한 안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시간이 필요하다면 필요한 시간은 쓰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병립형 회귀 주장을 펼치는 이들은 ‘현실론’을 강조한다. 현행 준연동형제도가 유지되고 여당이 위성정당을 만들면 자칫 국민의힘에게 의석수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정청래 최고위원은 “압도적으로 이기는 게 최고의 방법이다. 나가서 싸우고 이기자”고 강조했다고 한다. 친명 성향의 안규백 의원도 “과반 의석과 1당을 뺏기면 윤석열 정부의 폭주를 어떻게 막느냐. 선거제가 최고 민생 과제는 아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이재명 당대표가 지난해 대선 때 위성정당 방지와 연동형 및 권역별 비례제 도입을 약속한 만큼 이를 지켜야 한다는 원칙론도 만만치 않다.
비명계 모임인 ‘원칙과 상식’ 소속 김종민 의원은 “민심을 얻는 길은 병립형으로 후퇴하는 게 아니라 약속을 지키는 것이다. 그렇게 혼나고도 정신 못 차리면 당에 미래가 없고 심판받을 것”이라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해철 의원은 “지도부가 연동형 원칙을 갖고 더 세게 협상해야 한다”고 조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주당은 국회가 선거구획정위원회에 지역구 의석수를 253석으로 통보하는 데 일단 동의하기로 했다. 당초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서는 비례대표 수를 다소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지만 12월 1일까지 국회 의견을 전달해야 해 현실적으로 현행 253석 유지안을 내겠다는 것이다.
홍 원내대표는 “비례대표를 늘리고 지역구 의석을 줄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실적으로 여야간 합의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한 차례는 거부할 수 있어, 획정위 안을 보고 수용·거부를 다시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