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북콘서트에 참석한 함세웅 신부가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을 두고 “방울 달린 남자들이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고 깎아내렸다.
함 신부는 30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전통문화예술공연장에서 열린 추 전 장관의 신간 ‘장하리’ 출판기념회에서 2020년 12월 추 전 장관이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징계를 밀어붙이던 때를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총리, 비서관, 장관들이 다 남자들이었다. 여성의 결기와 결단을 수렴하지 못해 윤석열 검찰 독재정권을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모두가 속죄해야 한다”며 “그걸 포착하지 못한 결과 얼마나 많은 대가를 치르고 있냐. 괴물이 정치하고 있지 않느냐”고 했다.
함 신부는 추 전 장관의 별명인 ‘추다르크’를 언급하며 “잔다르크는 프랑스의 성녀이자 순교자인데, 확인되기까지 500년이 걸렸다”며 “(추 전 장관도) 당대에는 확인받기 어렵다. 다음 세대에서 확인될 것”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이날 출판기념회에는 더불어민주당 내 강성 친명계 모임인 ‘처럼회’ 소속 의원들도 다수 참석했다.
황운하 의원은 “장관님에게 아득바득 대드는 윤석열(대통령)을 당시에 정리했어야 하는데 아쉽다”며 “그 부분만 정리되면 멋지게 시대적 과제이자 소명인 검찰개혁을 한 장관으로 역사에 길이 남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민 의원은 추 전 장관을 ‘추 장군’이라고 부르며 “우리 장군님이 대단하셨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국민의힘이 조금이라도 다음 총선에서 이기면 계엄령 선포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가 막말이라고 얻어맞는데, 추 장관이 옛날에 하시던 말씀”이라고 했다.
이어 “이 책을 소설로 써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면서 “우리가 현직 대통령은 함부로 욕하기 어렵지 않느냐. 그런데 (소설 주인공) 용건석은 ‘이 나쁜 XX’ 마음껏 욕해도 된다”고 덧붙였다.
추 전 장관의 신간 ‘장하리’는 ‘추·윤 갈등’ 상황을 본인 시점에서 재구성한 자전적 창작소설이다. 책에서 그는 자신을 ‘장하리’, 윤 대통령을 ‘용건석’, 김건희 여사를 ‘김신명’,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하도훈’이라는 가명으로 각각 지칭했다.
추 전 장관은 소설 집필 계기에 대해 “절정으로 치닫는 국민의 분노를, 절정으로 향하는 시대의 과제를 외면하지 않고 검찰개혁을 완수하고자 소설 ‘장하리’를 쓰게 됐다”고 언급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