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실 내에 정책실을 30일 부활시켰다.
내년 총선과 집권 3년 차를 앞두고 정책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정책실 부활로 인해 대통령실은 ‘3실장(비서실장·정책실장·안보실장)’ 체제로 전환됐다.
윤 대통령은 또 정무수석·시민사회수석·홍보수석·경제수석·사회수석 등 수석비서관 5명을 모두 교체했다.
용산 대통령실이 ‘2기 체제’로 전환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올해 안에 과학기술수석실을 신설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은 ‘3실장(비서실장·정책실장·안보실장)·6수석’ 체제로 가동될 예정이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신설되는 장관급 정책실장에는 이관섭 현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 실장에 대해 “탁월한 정책 기획력과 조율 능력을 발휘해서 굵직한 현안들을 원만히 해결해 왔다”며 “국정 전반에 대한 식견이 높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바탕으로 국정과제를 추진력 있게 이끌어 나갈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지금 각종 경제 지표들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생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그러면서 “우선 당장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가용한 정책을 총동원해서 물가 안정을 이뤄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진복 정무수석의 후임으로는 한오섭 국정상황실장이 임명됐다.
김 실장은 한 수석에 대해 “대 국회 관계를 원만히 조율하면서 여야 협치를 이끄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 수석은 “당과 대통령실, 국회와 대통령실 간 소통에 소홀함이 없도록 챙겨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황상무 시민사회수석에 대해 “KBS 9시 뉴스 메인 앵커 등으로 오랜 기간 활약해 국민들에게 매우 친숙한 분”이라며 “국정 전반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운영될 수 있도록 이끌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도운 홍보수석에 대해서는 “국민들에게 국정 현황과 정책을 소상히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황 수석은 “겸허한 자세로 국민들에게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더욱 폭넓게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신임 경제수석과 사회수석에는 박춘섭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각각 임명됐다.
김 실장은 박 수석에 대해 “경제 활력을 높이고 민생 안정을 도모해 나갈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장 수석에 대해서는 “교육‧복지‧연금 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참석이 예정됐던 제3차 국정과제점검회의 등 외부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
윤 대통령은 개각, 여야 대치상황 대응 등을 놓고 숙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안이 워낙 많은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향후 정국 구상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