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 선정을 위한 투표에 앞서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진행된 마지막 유치 후보국 경쟁 프레젠테이션(PT). 한국의 PT는 정부·기업·국회·국민이 지난 10여년간 엑스포 유치를 위해 함께한 활동을 담은 ‘부산 갈매기’ 영상으로 시작됐다.
첫 번째 연사로 나선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리 갈매기는 혼자 날기를 원하지 않는다. 여러분과 함께 자유롭게 날아오르고 싶어 한다”며 “사람과 자연, 문화, 기술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부산으로 오시라”고 소개했다.
한국은 28일(현지시간) 오후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 선정을 위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의 최종 경쟁 프레젠테이션(PT)을 통해 부산 엑스포의 비전과 공약을 제시했다.
PT 무대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박 시장,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등 유치전을 이끌어온 인사들과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나승연 부산 엑스포 홍보대사까지 5명이 올라 마지막까지 회원국의 투표를 독려했다.
두 번째 연사로 나선 나승연 홍보대사는 1993년 대전 엑스포에서 우주 비행사를 만난 것을 계기로 꿈을 키워 현재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에서 일하는 박지우 씨의 사례를 소개했다. 나 홍보대사는 “자연과 지속 가능한 삶, 인류를 위한 기술, 돌봄과 나눔에 초점을 둔 엑스포를 제안한다”며 “우리가 원하는 미래는 한 사람 또는 한 나라가 단독으로 이룰 수 없고 모든 국가가 동등한 주체로서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부산 엑스포는 기후변화, 디지털 격차, 식량 위기, 질병 등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한 장으로 당신을 위한 엑스포가 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덕수 총리 역시 “여러분이 부산 엑스포의 노력을 최대한 누릴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며 “한국은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이제 그 도움을 돌려주고 싶다. 우리의 약속은 진심”이라고 호소했다.
반기문 전 총장은 “우리 삶의 양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새로운 시대 정신을 모색하는 엑스포에 주어진 사명”이라며 “부산 엑스포는 단순한 행사가 아니라 자연, 인간, 기술의 시너지를 위한 혁신이자 노력”이라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