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도 동참해야지?” 정부 요구에 ‘1조’ 상생 보따리 나올 듯

입력 2023-11-28 17:52
연합뉴스

“은행권 주도 상생금융 논의에 동참하라”는 금융 당국 요구에 보험업계도 머리를 싸매고 있다. 자동차와 실손 등 일부 상품의 보험료를 내리고 연금·저축보험의 환급률을 올리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은행장 17명을 만난 데 이어 연말까지 보험사 증권사 신용카드사 캐피털사 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을 차례로 만날 예정이다. 각 금융업권 현안에 대해 현장 목소리를 듣겠다는 취지지만 최근 은행권을 압박했던 상생금융 동참 요구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은행장 간담회에서 “제2 금융권을 포함해 상생안 범위와 지원 수준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보험업계는 일단 손해·생명보험협회를 주축으로 금융 당국 눈높이에 부합할 상생안 찾기에 돌입했다. 손보업계의 최우선 카드는 자동차보험료 인하지만 최근 2년 연속 인하한 터라 새롭지 않다. 이에 차 보험료 인하율을 최근 2년(1~2%)보다 높은 3~4%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지난 1~10월 손보업계 차 보험 손해율은 83.7%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83.2%보다 0.5% 포인트 하락해 요금을 더 인하해도 큰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다. 삼성·현대·DB·KB·메리츠 5대 손보사는 3분기 말까지 5조7100억원의 누적 순이익을 기록, 작년 같은 기간 5조2800억원보다 4000억원 이상 많이 벌었다.

약 4000만명이 가입해 제2의 건강보험으로 불리는 실손보험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있다. 실손보험은 지난해에만 1조5000억원에 이르는 적자를 내면서 올해 요금이 9% 가까이 인상됐다. 내년에는 보험료 인상 부담을 업계가 일부 떠안아 상승 폭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그러나 인상 폭을 줄인다고 해도 금융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커지는 것인 만큼 상생안으로 와닿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상품의 보험료를 낮추려는 보험사도 있다. KB손보는 자녀보험과 간병보험 등 장기 보장성 보험에 가입한 금융 취약층의 보험료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자녀보험에 가입 중인 고객이 한부모이거나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라면 보험료를 깎아주는 식이다.

생보업계는 연금·저축보험 상품 환급률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생보사가 판매하는 상품은 차 보험처럼 매년 갱신되지 않아 요금을 인하하는 의미가 크지 않다. 신한라이프는 최근 청년 세대 가입자가 적립액을 최대 30% 더 돌려받을 수 있는 상품(신한아름다운연금보험)을 출시했다. 한화생명은 2030에게 5년간 연 5%의 확정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2030목돈마련디딤돌저축보험)을 선보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는 제2 금융권의 맏형이라 당국 요구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면서 “손보업계와 생보업계가 5000억원씩 1조원 규모의 상생금융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