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반도체’ 분야의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기관이 대전에 문을 열었다.
대전시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8일 KAIST 정보전자동에서 ‘KAIST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개원식을 개최했다.
인공지능반도체는 인공지능(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초저전력으로 실행하는 시스템반도체다.
KAIST는 앞으로 6년간 반도체 설계·제작·응용이 가능한 창의융합형 인재 165명을 양성하게 된다.
대학원은 AI 알고리즘·회로·칩 설계 등의 실용화 연구 및 산학 공동 프로젝트, 학문 분야를 초월한 융합교육을 위한 복수 지도제를 도입한다. 미국·유럽의 유명 대학들과 글로벌 협력 교육도 실시한다.
시는 도시철도 1호선 시청역 인공지능 CCTV 시스템에 인공지능반도체를 적용하는 응용실증사업, 팹리스 기업과 인공지능반도체 혁신기관의 협력을 추진하는 등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인공지능반도체는 AI시대의 핵심 기반 기술이자 반도체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며 “대전을 세계 최고의 반도체 도시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