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근무하는 북한군이 권총을 차고 있는 것으로 28일 파악됐다.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북한 군 당국이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조치에 나선 데 이어 ‘JSA 비무장화’도 폐기한 것이다.
복수의 한·미 군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주 후반부터 JSA 북측 경비요원은 권총을 차고 근무 중이다. 우리 측 JSA 경비요원은 아직 비무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유엔군사령부는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한편 대응 조치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이 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우리 측도 재무장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남북은 2018년 9·19 군사합의에 따라 JSA 경비병력 무장을 해제하고, 그 수를 줄여 운영해 왔다.
북한군의 이런 행보는 9·19 군사합의 파기 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다.
북한 국방성은 지난 23일 성명을 통해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취했던 군사적 조치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지난 22일 오후 3시를 기해 ‘9·19 남북군사합의’ 1조 3항(비행금지구역 설정에 관한 조항) 효력을 정지한 데 따른 것이다.
북한은 지난 24일부터 9·19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진지를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하는 한편 야간 경계근무도 실시 중이다.
북한군은 또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 있는 북한군 갱도형 해안포 개방도 크게 늘리고 있다. 군 당국에 따르면 평소 북한군은 해안포 1∼2곳을 개문했는데, 최근에는 이를 10곳 이상으로 늘렸다.
우리 군은 대응조치를 즉각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도 “북한은 9·19 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고, 11월 24일부터 일부 복원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며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활동을 예의주시하면서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어떤 대응조치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필요한 조치를 차근차근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