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설치는 암컷’ 발언 논란 이후 민주당이 ‘공천 불이익’이라는 초강수 카드를 꺼냈지만, 소속 의원들의 ‘막말’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최 전 의원이 ‘암컷’ 발언을 할 당시 옆에서 웃으며 경청했다는 비판을 받은 김용민 의원과 민형배 의원이 설화의 당사자가 됐다.
김 의원은 27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석열 정권이 권력을 사용하는 대범함을 놓고 보면, 22대 총선에서 조금만 유리한 결과가 나와도 계엄을 선포하고 독재를 강화하려고 할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계엄 저지선’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단독 과반 확보 전략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헌법상 국회가 재적 의원 과반수 찬성으로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이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의원은 또 야권의 총선 승리를 위해 대통령 탄핵안과 대통령 임기 단축을 포함한 헌법 개정안을 발의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21대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을 공동 발의하고, 대통령 임기 단축을 포함한 헌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하면 (범야권의 반검찰독재) 연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민형배 의원은 지난 21일 친명(친이재명) 성향의 유튜브 채널 ‘새날’에 출연해 “탄핵으로 ‘발목때기’를 분질러 놨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이 규정한 탄핵 얘기를 안 하면 오히려 직무 유기다. (탄핵하면) 무슨 큰 난리라도 납니까”라며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으로 재직하던 2020년 말) 여기 나와서 ‘윤 총장을 탄핵해도 역풍은 오지 않는다’고 얘기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 출범할 때도 마찬가지”라며 “(국민의힘이 지난해 4월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에 대한) 합의를 파기했을 때 발목을 잡아서, 발목을 잡는 게 아니라 ‘발목때기’를 분질러 놔야 된다니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최근 잇따른 설화를 두고 논란이 일자 지난 24일 내년 총선 후보자의 언행을 엄격히 검증하고 공천 심사에도 이를 반영하기로 했다.
지난 22일 ‘암컷’ 발언 당사자인 최 전 의원에게 당원 자격 6개월 정지란 강력한 징계를 내리고도 총선 전 다시 설화 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소속 의원들이 계속 공개적으로 강한 언행들을 이어가면서 민주당 조치의 실효성에 대해 당내외에서 의문이 제기된다.
신주호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일반 국민의 상식과 괴리된 주장이자 헌법의 기초도 학습하지 못한듯한 극단적 발언을 연달아 내놓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강성지지층의 구미에 맞는 입장만 통해 공천을 받아보려는 속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실상 (암컷 발언에) 동조했던 두 의원을 향해 민주당은 아무런 경고도 하지 않았다”며 “민주당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당내 구성원들의 막말과 국민 주권을 경시한 행태는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