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 9·19합의로 파괴했던 GP 설치해 병력·중화기 투입”

입력 2023-11-27 18:24
북한군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병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군 당국은 27일 밝혔다. 사진은 감시소를 설치 중인 북한군 병력 모습. 국방부 제공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이후 비무장지대(DMZ) 내 북한군 감시초소(GP) 일부 시설을 최근 복원하고 병력과 중화기를 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군 당국이 27일 밝혔다.

북한은 또 갱도형 해안포 포문 개방 횟수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했던 GP 복원에 들어가면서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될 것이라는 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군 관계자는 동부전선 DMZ 내에서 열영상장비(TOD) 등 지상 감시 장비로 촬영한 북한군 GP 사진 4장을 이날 공개했다.

사진에는 북한군이 과거 GP를 철거했던 자리에 ‘감시소’를 설치하는 모습이 담겼다.

또, 사격할 때 총 몸체가 뒤로 밀리지 않는 중화기인 비반동총(무반동총)을 배치한 장면, 병사들이 초소를 둘러싼 채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등이 포착됐다.

군 관계자는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북한군) GP 모두 유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9·19 군사합의에 따라 2018년 11월 20일 GP 10곳을 폭파하고, 1곳은 시설을 보존한 채 철수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군 GP내 중화기에 대해서는 “무반동총과 유사한 무기도 식별되고 있다”며 “고사총 등도 현재 보이지 않을 뿐이지 다 들여오지 않았나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또 해안포 포문 개방 횟수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갱도 한 곳에는 통상 2개의 해안포가 배치된다.

9·19 군사합의는 이 갱도 포문을 닫아놓기로 했는데, 북한은 최근 10여 곳 이상을 열어놓고 있다고 군은 설명했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북한의 복원조치에 대한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은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우리 군의 대응 조치는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될 것”이라며 “상응 조치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신원식 국방부장관과 김 의장으로부터 북한의 GP 복원 등의 정황을 보고받고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