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9·19 일부 효력 정지 2천만 수도권 국민 지키려는 것”

입력 2023-11-26 16:07
조태용 국가안보 실장은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을 정지한 것과 관련해 “2000만 수도권 국민을 지키기 위한 조치”라고 26일 밝혔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실장은 그러면서 “우리는 감시 정찰을 하겠다는 거고, 북한을 향해 총 한 방 쏘는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조 실장은 이날 연합뉴스TV에 나와 “9·19 합의를 업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제가 보기에는 많지 않을 거 같고 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 같이 말했다.

조 실장은 이어 “9·19 합의는 우리에게 굉장히 불리한 합의”라며 “일부 효력 정지는 합의 중 우리가 감시 정찰 활동을 못 하도록 한 것을 다시 할 수 있게 복원한 것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22일 오후 3시를 기해 ‘9·19 남북군사합의’ 1조 3항(비행금지구역 설정에 관한 조항) 효력을 정지했다.

북한이 전날 밤 군사정찰위성을 쏜 데 따른 것이다.

그러자 북한 국방성은 지난 23일 성명을 통해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취했던 군사적 조치들을 철회한다”며 반발했다.

조 실장은 “북한은 핵무기 말고도 장사정포로 전 수도권을 사정거리에 넣고 있다”며 “우리 군은 장사정포를 상시 감시하고 타격 조짐이 보이면 바로 대항할 수 있게 준비해놨었는데, (9·19) 합의 때문에 그걸 못했다”고 설명했다.

조 실장은 ‘9·19 합의 일부 효력 정지가 위기를 조장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최소한의 순수 방어적인 조치”라며 선을 그었다.

조 실장은 그러면서 “누가 대화를 제의하고 어느 쪽에서 거부하고 있는지는 제가 말씀드릴 필요가 없이 지난 1년 반 동안 팩트를 보시면 금방 드러난다”며 “우리 정부는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화를 거부하며 군사적인 긴장감을 높이는 것은 북한이라는 것이다.

조 실장은 “예를 들면 추석이나 설날이 되면 이산가족 상봉을 시키는 등 인도적인 일들은 얼마든지 할 수 있고, 북한이 필요한 인도적 지원이 있으면 그것도 저희가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이어 “저희는 ‘담대한 구상’을 통해 북한이 필요로 하는 여러 의료 지원 등을 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해두고 있지만, 북한은 이런 제안을 설명하기 위해 회담을 하자고 해도 응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일·중 정상회의에 관한 언급도 내놨다.

조 실장은 이에 대해 “연내는 아니더라도 (성사)되지 않겠는가 하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우리가 4년간 못 한 한·일·중 정상회의를 하겠다고 해서 중국과 일본이 둘 다 좋다고 했다”며 “그러면 시간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그 작업이 진전이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문제를 두고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먼저 하고 나서 아마 그다음 수순으로 저쪽에서는 생각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조 실장은 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을 추진했지만 불발된 데 대해 “중국도 이걸로 큰일을 만들거나, 한중관계를 흔드는 그런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건 원치 않는 듯하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 영국·프랑스 순방 성과를 소개했다.

조 실장은 윤 대통령이 영국을 국빈 방문한 것과 관련해 “한국이 일본, 중국 못지않게 영국의 중요한 파트너가 된, 한 획을 긋는 방문이었다”고 평가했다.

조 실장은 윤 대통령 프랑스 방문에 대해선 “(2030 부산 세계박람회) 경쟁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탈리아 정상들은 안 왔지만, 우리 대통령은 마지막까지 교섭을 했다”고 설명했다.

조 실장은 “엑스포 유치에 있어서는 여전히 추격자 입장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지난 1년 반 동안 대통령이 무려 150개국 이상 정상과 회담을 하며 많이 추격했다. ‘한 번 해볼 수 있겠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