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로봇’으로 일어선다…글로벌혁신특구 지정 사활

입력 2023-11-26 13:28
최근 대구에서 열린 '2023 대구국제기계산업대전' 행사장 모습. 엑스코 제공

대구시가 글로벌 로봇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글로벌혁신특구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구로 지정되면 각종 규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로봇산업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된다.

시는 미국 피츠버그를 로봇도시 롤 모델로 삼고 있다. 철강업 쇠퇴로 몰락한 도시로 여겨지던 곳이 로봇산업을 집중 육성해 현재는 글로벌 로봇도시로 거듭났다. 시도 지역의 산업전환과 경제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로봇과 인공지능(AI) 등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육성 중이다. 시가 다음 달 발표 예정인 정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로봇·AI 분야에 도전장을 내민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국내 최초로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는 곳이 될 전망이다. 명시적으로 적힌 금지사항을 제외한 모든 기술 실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산업 발전에 날개를 다는 셈이다. 이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대구시는 그동안 로봇 인프라를 집중 육성해 갖춘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시가 추진한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이 지난 8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후 기업들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올 들어 시는 국내외 로봇 기업 5곳을 유치하고 1200억여원의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유망한 로봇기업들이 대구에 둥지를 틀거나 핵심 시설을 짓기로 했다. 미국에 본사를 둔 서빙로봇 업체 베어로보틱스도 대구에 생산공장을 건립하기로 했다.

로봇 인프라도 탄탄하다. 현대로보틱스(국내 1위), 야스카와전기(세계 3위) 등 233개 로봇 기업이 입주해 전국 최고 수준의 로봇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자동차부품, 기계·금속 등 제조산업 기반이 뛰어나고 국내 유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을 비롯해 대구기계부품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 풍부한 산학협력 자원도 갖췄다.

최근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사업이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의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등 로봇 관련 시 정책들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26일 “글로벌 혁신특구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와 시너지 효과를 내 로봇산업 발전 속도를 높일 것”이라며 “특구 지정을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