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금껏 했던 것처럼 더욱더 힘 있게 기후대응 정책을 하겠다. 그것이 지방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 24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농촌 기후위기 대응 세미나에 참석해 환경부의 일회용품 규제정책 철회 및 유예 발표에 대해 “환경부가 일회용 컵이나 빨대 사용 금지 정책을 쭉 펴오다가 다시 사용으로 선회하는 것을 보고 제가 ‘환경부는 환경파괴부’냐는 얘기를 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얼마 전에 미국의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 제이 인즐리 워싱턴 주지사를 만나 두 가지 어젠다를 제시했다”며 “하나는 중앙정부의 정권이 바뀌면서 지속적으로 해야 할 기후변화 정책이 급격히 변화하는 문제, 기후위기가 왔을 때 빨리 적응하고 대응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들 간 문제였다”고 소개했다. 이어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부터 도청에 일회용 컵 반입을 금지했고, 지난주부터 직원들의 야근 음식 일회용기 사용도 금지했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기후변화 대응에서 거기에 빨리 적응·대응하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은 적응하기 어렵고 심지어 어떻게 할지 모르고 있다”며 “산업으로는 농업·어업 쪽이 디지털 디바이드(정보기술 접근 격차)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별한 관심·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힘을 보태주시고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경기도는 ‘농어업 온실가스 감축’ ‘신재생에너지 생산확충’ 등 2대 핵심 분야와 친환경 농업 및 경축순환농업 확대, 탄소 저감 농업기술 보급 및 확산, 갯벌·바닷숲 조성, 농업 시설개선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농기계 및 친환경 농산물 유통 체계 구축, 농어촌자원을 활용한 농촌 RE100 실현, 경기도형 영농형 태양광 모델 구축 등 7개 중점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경기도 발표에 이어 프랑스, 일본 등 영농형 태양광(농지 위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서 벼, 감자, 녹차 등 작물을 재배하는 형태)의 글로벌 동향과 부정적 오해들에 대한 주민 소통방식, 수익 창출 과정 등에 대한 소개와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