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희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다음카카오가 조중동 등 유력 언론사를 제외한 매체의 기사 검색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폐쇄했다”고 주장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남 부원장의 이 같은 글을 공유하며 공감을 표했다.
23일 남 부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한 ‘긴급 속보’라는 제목의 글에서 “다음카카오가 11월 23일부터 조중동 등 유력언론사(CP사)를 제외한 뉴스검색 제휴 매체의 기사 검색 및 노출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폐쇄조치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남 부원장은 “이에 따라 조중동 등 CP사의 뉴스만 검색되고 있다”며 “기존 중소 인터넷신문 등 언론매체는 다음카카오의 뉴스검색제휴사임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기사가 뉴스검색 창에서 검색되지 않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 부원장은 이어 “작금의 다음카카오가 자행한 뉴스검색제휴 언론사 기사 검색 및 노출 중단 행위는 초유의 사태”라며 “대다수 중소규모 및 지역, 풀뿌리, 전문 언론의 생존을 틀어막고, 뉴스여론시장의 편파성과 불공정성을 불러오는 언론말살 행위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음카카오는 즉각 이 같은 조치를 중단하고, 대국민 사과와 재발방지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 부원장이 언급한 사안은 포털 사이트 ‘다음’이 내린 조치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다음은 전날 “지난 5월부터 전체 언론사와 뉴스제휴 언론사를 구분해서 검색결과를 제공한 6개월간의 실험을 바탕으로 검색결과의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뉴스제휴 언론사로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다음은 “뉴스제휴 언론사 기사로 구성된 ‘다음뉴스 보기’를 클릭한 이용자의 비율이 전체뉴스 보기 대비 95.6%의 비율로 높게 나타나, 뉴스제휴 언론사의 기사와 뉴스제휴 언론사의 설정값을 유지하려는 이용자의 수요도 확인했다”며 조치 이유를 설명했다.
남 부원장이 이 같은 소식을 알리자 조 전 장관도 그의 페이스북 글을 공유하며 공감을 표했다. 앞서 조 전 장관은 지난 4일에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 언론 심의 조치를 겨냥해 “실제 실행·집행한다면 탄핵 대상에 해당하는 반헌법적 꼼수”라고 비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