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 정찰위성 3차 발사가 성공적이었고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국정원은 그러면서 그 배경에는 러시아 도움이 있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은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 결심에 따라 북한이 내년 7차 핵실험을 단행할 수도 있다고 봤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유상범·윤건영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우선 “북한 발사체 성공에는 러시아 도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이어 “북·러 회담 당시 푸틴이 북한 발사체 자체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다”며 “회담 후 북한이 설계도 및 1·2차 발사체 관련 데이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러시아가 그 분석 결과를 (북한에) 제공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러시아 도움을 받은 정황 이외에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없다”고 답했다.
국정원은 또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때 수거한 잔해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탑재된 위성은 소위 정찰위성으로 가치 있는 ‘서브미터’급이 되지 않는 위성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새로운 인공위성 발전 속도가 통상 3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현재 북한이 괌 사진을 촬영했다는 영상을 공개하지 않는 한 인공위성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은 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한 고체연료 발사 기술에 대해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경우에는 개발 초기 단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내년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결심에 따라 핵실험을 전격 감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국정원은 “임박한 시일 내 북한의 7차 핵실험 징후는 포착되고 있지 않다. 풍계리에서도 발사 징후는 현재까지는 포착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핵실험은 북한 최고 지도자 결심에 의한 사안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이어 “2023년에는 핵실험 가능성을 높게 보진 않는다”며 “2024년이 되면 김정은 결심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정찰위성은 올해 안에 추가 발사는 어려운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 발사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