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당 160만원 인하…대구 제2국가산단 경쟁력 높인다

입력 2023-11-23 11:39 수정 2023-11-23 13:23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 사업구역 조정 설명도.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지역의 미래산업 전환 기반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제2국가산업단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사업구역을 조정하고 땅값을 낮추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초 대구 달성군 화원읍~옥포읍 일원(330여만㎡)이 제2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다. 시는 우수한 역외기업 유치를 위한 조성원가 인하를 위해 실제 개발이 가능한 제조용지가 더 많아야한다고 판단했다. 지속적으로 사업구역 조정 방안을 논의한 끝에 당초 계획했던 330여만㎡ 사업구역 중 생산녹지와 준주거지역 일부를 제외하고 보상비가 저렴한 개발제한구역 농지를 새로 포함시켰다. 전체 사업구역 면적은 300여만㎡로 줄었지만 실제 활용 가능한 땅은 늘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가 제외한 지역은 지가상승 등으로 보상비가 높고 주택·공장·근린생활시설 등의 이주 문제가 우려되는 곳이다. 화원읍 구라리 일원, 사업지 내 준주거지역(화원읍 성산리, 옥포읍 간경리~기세리), 달성군에서 사업을 추진 중인 화원읍 설화리 공영차고지 일원 등 약 118만㎡가 제외 대상이다.

92만㎡ 규모 농지가 새로 포함되면서 보상비 절감을 통한 조성원가 인하(평당 160만원 정도), 제조용지 추가 확보(35만㎡ 이상) 효과가 나타나 제2국가산단의 기업유치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사업시행예정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안에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해 내년 2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시는 신속하게 행정절차 진행해 2025년 현 정부 1호 국가산단 지정과 2030년 산단 준공 목표를 이룰 계획이다.

시는 사업구역 조정에 따른 투기 방지를 위해 올해 초 지정한 토지거래 허가구역을 조정된 사업구역으로 변경해 다시 지정·공고한다. 달성군도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의 변경을 위한 열람공고를 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사업구역 조정으로 사업성이 높아지고 사업 진행 속도도 빨라지게 됐다”며 “제2국가산단 경쟁력이 높아진 만큼 우수한 역외기업, 대기업 유치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