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위기에 빠진 지방대 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설 채비를 한다. 지방대를 지원하는 부서를 만들어 각종 대책을 마련하고 실행할 방침이다.
시는 지역 대학과 함께 위기 극복 정책을 추진할 ‘대학정책국’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22일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근 대구 동성로에서 열린 도심 캠퍼스 타운 조성 선포식에서 대학정책국 신설 의사를 처음 밝혔다. 당시 홍 시장은 “경북대, 계명대 협력관 제도(주요 대학에 대구시 간부 공무원 파견)를 폐지하고 대학정책국을 신설해 대구·경북권 대학과 상생·발전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1일 대구시 기자간담회에서도 대학정책국 구상을 거듭 밝혔다.
시는 각 부서에 흩어져 있는 대학 관련 업무를 확인 중이며 검토를 거쳐 관련 업무들을 한 곳으로 모을 계획이다. 이르면 내년 초 대학정책국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대학정책국이 설치되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인 라이즈(RISE) 사업 등 대학지원 사업을 전담하게 된다. 대구시는 교육부 공모 사업인 라이즈 시범지역 7곳 중 한곳이다.
시가 지방대 살리기에 나서게 된 것은 인구감소, 청년유출 등 지방 위기가 지방대 위기와 함께 묶여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경북대 등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 실질 입시 경쟁률의 기본값으로 여겨지는 6대 1을 넘지 못하는 지역 대학과 학과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지방대 살리기와 청년 귀환·정주 등 지방위기 해법을 연계해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할 계획이다. 시가 전국 최초로 시도하는 도심 캠퍼스 타운도 시의 의지를 반영한 사업이다. 동성로 등 대구 도심에 늘고 있는 공실들을 임대해 대구·경북권 대학의 학생들을 위한 캠퍼스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학 활성화와 청년 정주, 도심상권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는 것이 목표다. 경북대, 계명대, 대구대, 계명문화대, 대구보건대, 영진전문대 등 12개 대구·경북권 대학들도 대학포럼 총장협의체를 구성해 시 사업을 돕기로 했다.
라이즈 사업도 본격화 됐다. 지난달 대구정책연구원 안에 라이즈센터가 문을 열었다. 내년부터 도심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을 지원하고 2025년부터는 대학 지원사업 선정, 집행, 평가, 모니터링도 담당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학정책국이 생기면 대학정책 관련 부서 간 협력, 지역 대학들과의 소통, 정부사업 연계 등 지역 대학정책 전반을 계획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