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상위 1%의 부유층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6%를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은 20일 보고서에서 2019년 기준 소득 상위 1%에 속하는 7700만명이 하위 66%에 해당하는 50억명과 맞먹는 양의 탄소를 배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소득 상위 10%로 범위를 넓히면 이들이 배출하는 탄소량은 전체 배출량의 절반이다.
하위 99%에 속한 개인이 가장 부유한 억만장자가 1년간 배출하는 만큼의 탄소를 사용하려면 1500년이 걸리는 것으로 계산됐다.
옥스팜은 상위 1%가 2030년 배출하는 탄소량이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제시한 배출량 목표치를 22배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추세면 2020∼2030년 기후변화 등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130만명에 이를 수 있다.
국제사회는 파리협정을 통해 지구표면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전과 대비해 섭씨 2도 이하로 억제하고 1.5도까지도 낮추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지구촌이 1.5도 목표를 지키려면 2030년 탄소 배출량이 2019년 대비 약 43% 줄어야 한다.
하지만 각국의 탄소저감 계획을 보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옥스팜은 경제 등 분야별 불평등이 심한 국가일수록 기후변화 재난의 피해도 크다며 불평등 해소 방안으로 부유세를 제시했다.
전 세계 주요 기업, 억만장자를 대상으로 한 신규 세제를 도입해 저탄소 재생에너지 전환에 투입할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미타브 베하르 옥스팜 인터내셔널 임시 총재는 “슈퍼리치들이 지구를 파괴하고 오염시켜 인류를 극심한 더위, 홍수, 가뭄으로 질식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세영 선임기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