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은 20일 ‘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실천방안’을 주제로 정책 브리프를 발행해 지역 무형유산의 전승환경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지역의 소중한 비지정무형유산이 전승자의 고령화와 열악한 전승환경, 지역민의 무관심속에서 계속 소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개선하기위한 노력으로 미래 무형유산의 발굴·육성이 부각 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26년까지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을 추진, 근현대에 새롭게 복원·재창조되거나 아직 국가 또는 광역시도 차원에서 지정되지 않은 전국 각 지역 무형유산 100종목을 선정하고 각 지역의 대표 무형유산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에 경남도는 6개 종목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사업으로 지역 무형유산 보존·전승 환경 개선 차원에서 사업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주장이다.
브리프에 따르면 경남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여건 환경은 후보 무형유산 자원 보유 측면에서 양호하나 경남도와 각 시·군 지자체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장기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경남도 차원에서 경남민속예술축제가 1968년부터 열려 역대 수상작 중 많은 수가 국가 또는 도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됐으나 일부는 아직 미지정 상태로 있어 이들 무형유산을 미래 유산으로 체계적 육성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 지역에는 합천 밤마리오광대, 마산오광대, 양산 원동목도소리, 진해 연도상여소리, 거제 살방깨발소리, 함안수륙제 등 현재 무형문화재로 미지정 됐으나 지역민에게 많이 알려져 있고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형유산도 많이 있다.
이 같은 무형유산 역시 세부 구성내용과 역사성, 전승체계 등이 지속적으로 조사·연구되고 보완되면 미래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현재 문화재청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 참여를 제외하고는 경남도나 각 시·군 지자체에서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에 대한 계획이나 지원책은 부족한 상태다.
한상우 경남연구원 조사연구위원은 “미래 무형유산이 가지는 정서·문화적 차원의 지역민 통합기능과 콘텐츠산업의 활용성, 지역 전통문화의 향유 등 긍정적 기능과 가치를 볼 때 도내 무형유산 현황 조사와 목록화 사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경남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 전개와 종목별 맞춤형 컨설팅 제공, ‘경남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조례’ 제정, 지역민 대상 홍보 강화, 무형유산 관리 체계 이원화 확립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