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대통령선거 결선 투표에서 ‘남미의 도널드 트럼프’로 불리는 극우 성향의 자유전진당 후보 하비에르 밀레이(53)가 당선했다.
밀레이 후보는 19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내무부 중앙선거관리국의 대선 결선 투표에서 개표율 91.81% 현재 득표율 55.86%를 기록해 승리를 확정했다. 결선 투표에서 밀레이 후보와 대결한 현직 경제부 장관이자 여당 후보인 세르히오 마사(51)의 득표율은 44.13%다,
밀레이 후보는 지난달 22일 대선 1차 투표에서 득표율 29.99%로 2위에 머물렀지만, 당시 1위 주자(득표율 36.78%)였던 마사 후보에게 결선에서 역전했다.
마사 후보는 개표 결과 발표를 앞둔 이날 오후 8시10분쯤 선거 캠프에서 “패배를 인정하고 승복한다. 밀레이의 당선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밀레이 후보는 기성 정치권에 회의를 나타낸 아르헨티나 민심 위에서 가장 강력한 대권주자로 평가됐다. 하지만 본선에서 1위에 오르지 못해 기세가 꺾이는 듯했다.
밀레이 후보는 자국 통화를 현행 페소화에서 미국 달러화로 바꾸고, 중앙은행 폐쇄나 장기매매 허용 같은 과격한 공약으로 지지를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닮은 행보로 ‘남미의 트럼프’라는 별명을 얻었다.
마사 후보는 후안 페론 전 대통령의 통치 방식을 계승한 ‘페론주의’를 앞세우면서 달러 비축량 확대를 통한 외환위기 경감, 외채 협상 재조정을 주창했다.
하지만 100% 이상의 연간 물가상승률을 기록했고, 빈곤층만 40%에 달하는 아르헨티나의 경제위기에서 경제부 장관인 마사 후보의 이력은 약점으로 작용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