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용량 축소 등 가격을 편법으로 인상하는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에 나선다.
정부는 소비자 알권리 재고를 위해 구체적인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17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제33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2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부처별 물가안정 대응상황을 점검·논의했다.
김 차관은 “최근 용량 축소 등을 통한 편법 인상, 이른바 슈링크플래이션에 대한 우려가 많다”며 “이러한 행위는 정직한 판매 행위가 아니며 소비자 신뢰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이를 중요한 문제로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줄어들다’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inflation) 합성어로,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용량을 줄이는 관련 업계 꼼수 전략이다.
김 차관은 “11월 말까지 한국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주요 생필품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신고센터도 신설해 관련 사례에 대한 제보를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이어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알권리를 제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또 계란 가격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다음 달 중 마련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이와 관련해 “계란의 경우 수급 요인은 양호하지만 산지 고시가격이 경직적인 측면이 있다”며 “산지 고시가격이 수급 여건을 신속히 반영하도록 유도하고 보다 투명한 가격 형성을 위해 계란 공판장 및 온라인 도매시장 등을 활용한 제도개선 방안을 12월 중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부 품목별 물가대책도 내놨다.
김 차관은 “염료·생사, 식품용감자·변성전분 등은 업계 건의를 받아 인하된 관세를 내년에도 지속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하면서 현장을 면밀히 점검하고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아직 물가 수준이 높고 중동 사태 향방, 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최근의 물가 개선 조짐들이 확대되도록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