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에서 박쥐가 목격됐다. 겨울잠을 자러 가던 길에 잠시 들른 것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9시쯤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 아파트 15층에서 주민이 방충망에 매달려 있는 박쥐를 발견했다.
주민 조모씨는 “아파트가 도심에 위치해 있고, 근처에 숲이나 동굴도 없는데 박쥐가 나타나 놀랐다”며 “박쥐가 여러 바이러스를 옮기는 동물이라고 들어서 보자마자 뜰채로 쳐서 날아가게 했다”고 매체에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박쥐가 발견된 건 처음이다. 구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마포구 내에서 박쥐가 출몰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박쥐는 보통 10월부터 그 다음 해 5월까지 동면기를 맞는다. 목격된 박쥐는 겨울잠을 자러 가는 도중에 아파트가 있어 잠시 휴식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는 설명했다.
박쥐전문가 김선숙 국립생태원 박사는 “사진 속 박쥐는 집박쥐나 안주애기박쥐로 추정된다”며 “아파트의 방충망은 박쥐의 발톱으로 매달리기 편하고 평평해서 박쥐가 임시 잠자리로 택하는 장소일 수 있다”고 매체에 전했다.
집박쥐는 민가 지역에 사는 박쥐로, 주로 건물이나 콘크리트 틈에 살기 때문에 주거 지역에서 가끔 목격된다. 산림이나 동굴이 주 서식지인 안주애기박쥐 또한 11월 말에서 12월 초에는 민간에 의해 자주 발견되는 종이다.
박쥐를 발견했을 경우 야생동물 특성상 병에 걸릴 수 있으니 손으로 만지는 등 직접 대처하기보다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신고하는 것이 좋다.
김 박사는 서식지가 없어 박쥐가 민간에 출몰한다는 일부 인식은 확대해석이라고 했다. 그는 “서울 상공이든 시골이든 박쥐는 어디서나 살고 있다”며 “물리지 않는다면 감염성은 매우 낮고, 어쩌다 사람과 스쳤다고 병이 옮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접촉만 주의하면 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