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2일 2차 파업을 앞둔 서울교통공사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노동조합 측은 정해진 시한 없는 파업을 예고하고 있고, 공사 측은 지난 9~10일 1차 파업에 참여한 노조원의 임금 7억여원을 깎는 등 강경 대응 방침을 보이고 있다.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파업 참가자 전원에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하고 불법 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의 공사 노조는 지난 15일 ‘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공사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 및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노조는 지난 9~10일 경고 파업을 벌인데 이어, 오는 22일에는 무기한 파업을 예고했다.
공사는 1차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 4470명의 12월 급여를 일부 삭감하기로 했다. 전체 약 7억여원 규모이다. 노조가 2차 파업에 돌입할 경우 1차 파업과 동일하게 근무하지 않은 시간을 철저히 확인해 역시 급여에서 삭감한다는 방침이다.
공사는 지난해 11월 30일 이뤄진 파업 참가자 2763명에 대해서도 3억6000만원의 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전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노사 간 갈등의 핵심 쟁점은 ‘인력 조정’이다. 공사는 적자 규모 감축을 위해 올해 383명을 포함해 2026년까지 공사 전체 정원의 13.5%(2212명)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합의 없는 일방적인 구조조정이자, 안전 업무를 외주화하는 처사라고 반발한다. 노조는 현장 안전인력 공백을 막기 위해선 오히려 정년 퇴직 인력 276명의 충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공사는 2차 파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파업 대비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필수유지업무 및 대체인력 등을 확보해 평일 기준 현재 인원의 83% 수준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또 평일 출근 시간대(오전 7~9시)에는 열차 운행률 100%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했다. 퇴근 시간대(오후 6~8시)의 경우 비상대기 열차 7대를 대기시킬 예정이다. 특히 혼잡도가 높은 2호선은 임시열차 5대(내선 3대·외선 2대)를 추가 편성한다. 다만 낮 시간대 등 평상 시간에는 운행률이 하향 조정된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열차 운행 방해나 지연 행위 등 불법 행위 발생 때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중하게 조치하겠다”면서도 “노조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추진해 시민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