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는 중장기 계획인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과 환경계획을 수립해 환경정책의 큰 틀을 보충하고 기업, 시민과 함께 실현해 나가는 환경교육도시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창원시는 지난해 정부의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에서 지역 사회의 기본전략을 의무화함에 따라 지역 여건에 맞는 20년 단위의 기본전략과 5년 단위의 추진계획을 지난 8월부터 착수해 내년 8월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시의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은 지속가능성을 시정의 핵심 원칙으로 설정하고 주요 정책 및 각 분야별 방향성 제시 기준 마련과 UN이 정한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정망 강화 등 17개 지속가능발전 목표를 지역 여건에 맞게 연계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주요내용은 경제, 사회,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의 기본방향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비전, 전략, 목표, 중점 이행과제 설정, 분야별 시책,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개발과 이행체계 마련, 실효성 확보방안 제시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의 기본 전략 수립이다.
또 시는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의 환경보전계획이 올해 종료 됨에 따라 환경여건의 변화를 전망하고, 공간환경구조를 구상해 지역의 환경분야별 보전, 이용, 복원 등의 내용을 종합 검토해 새로운 환경계획을 수립 중이다.
환경계획은 ‘환경정책기본법’과 ‘창원시 환경기본 조례’에 따라 20년마다 수립 해야하는 환경분야 법정계획으로 자연생태·자연경관, 토양·지하수, 연안·도서, 대기·미세먼지, 통합물환경, 자원순환 등 10개 환경분야에 대한 현황조사, 분석 등에 관한 종합 계획이다.
한편 시는 환경교육조직 신설과 시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환경교육주간 행사, 환경교육네트워크 구성, 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 등의 환경교육 추진 기반이 우수한 도시로 인정받아 지난달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도시로 최종 선정됐다.
이에 시는 환경교육도시 지정 후 환경교육도시 기반을 확고히 다지기 위해 환경교육 우수프로그램, 교육시설 등 환경교육 정보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지역적 특색인 습지·해양·도심 생태계의 다양한 환경자원을 활용한 창원형 통합 생태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조성환 창원시 기후환경국장은 “지속 가능한 환경도시란 인간 활동과 자연환경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도시를 의미 한다”며 “새로운 비전을 통해 시민과 함께 준비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