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플라스틱 빨대 금지’ 계도기간 무기한 연장의 유탄을 맞은 종이 빨대 제조업체들은 빨대 재고를 처리할 판로가 없다며 정부에 긴급 자금 지원을 비롯한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16일 11개 종이 빨대 업체로 구성된 ‘종이 빨대 생존 대책 협의회(가칭)’에 따르면, 회원사 기준 현재 종이 빨대 재고량은 약 1억 4000만개에 이르는 실정이다. 협의회 미참여 업체까지 포함하면 재고량은 약 2억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회원사 기준 월 생산량은 약 2억7000만개이지만 현재 생산 기계 가동을 멈춘 상태고, 종이 빨대 판로마저 막혀 제조업체들이 이 재고를 떠안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협의회 이상훈 이사는 “전국에 있는 종이 빨대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들”이라며 “당장 긴급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재고를 팔 수 있는 판로가 반드시 마련돼야 하며, 플라스틱 빨대 사용 규제 계도기간의 정확한 일정 발표도 당장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종이 빨대 제조사 대표들은 지난 13일 오후 환경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갑작스런 정책 변경에 따른 피해 보상과 명확한 계도기간 설정을 호소했다. 협의회는 이어 환경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지만, 별다른 대책 마련 없이 양측의 입장 차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식음료 프랜차이즈 회사에 되도록 종이 빨대를 계속 사용해달라고 요청하는 한편 빠른 시일 내에 종이 빨대 업체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임소윤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