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1·2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했던 일본 경제가 3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15일 일본 내각부가 발표한 일본의 올해 3분기(7∼9월) 실질 국내총생산(GDP·계절조정 전기대비 속보치) 기준 성장률은 -0.5%였다. 연율로 환산하면 -2.1%다.
일본의 실질 GDP는 작년 4분기(-0.1%)에 뒷걸음질했다가 올해 들어 1분기 0.9%, 2분기 1.1% 각각 증가했다.
올해 3분기 경제가 부진했던 배경으로는 물가 상승에 따른 개인소비 위축과 기업의 설비투자 부진이 꼽힌다. 3분기 가계의 최종 소비지출(계절조정 전기 대비)은 0.1% 줄었고 민간기업 설비투자도 0.6% 감소했다. 수출 증가율은 3.9%에서 0.5%로 급격하게 둔화했다.
블룸버거는 이번 지표가 일본경제의 회복이 예상보다 더 취약하며 정부와 중앙은행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엔화 약세, 인플레이션 장기화, 불투명한 세계 경제 등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상황은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전환을 연기할 수 있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임금, 물가, 성장의 선순환이 강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징후가 있을 때까지 일본은행이 보조를 맞출 것”이라면서도 통화정책 정상화의 전제조건인 2% 물가상승 목표를 향한 진전이 있다며 조기 전환 가능성을 시사했다.
송세영 선임기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