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셜 미디어 확산 등의 영향으로 문해력 저하 우려가 커지자 서울시교육청이 이번 학기부터 학생들의 문해력과 수리력을 평가하는 새로운 진단 검사를 실시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초·중·고생 4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문해력과 수리력을 검사한다고 15일 밝혔다.
대상자는 서울 내 약 210개 학교, 학교 밖 청소년 도움센터 2곳 학생들이다. 이중 초4, 초6, 중2, 고1 학년 학생들이 검사를 받게 된다. 학생들은 하루 동안 문해력 2과목, 수리력 2과목 등 약 4시간에 걸쳐 4과목 시험을 본다.
진단검사는 일상생활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파악하는 문항과 학습 상황에서의 문해력과 수리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교과 융합형 문항으로 구성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코로나19 유행기를 거치면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낮아졌다는 지적이 불거지자 서울시의회의 지원을 받아 이 진단 검사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만 기초학력을 진단해왔다.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이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학교 자체 개발도’ 등을 이용해 구체적인 점수가 아닌 일정 수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식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도입되는 진단 검사는 문해력과 수리력 검사 점수가 수직 척도로 설계된다. 학생이 자신의 점수를 학년 평균 점수와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달 말 학생과 학부모에게 통보된다. 학생, 학부모와 학교만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외부에 공개되지는 않는다.
학교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계획을 세우고, 교육청은 학교마다 기초소양 교육을 위한 예산이나 자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앞서 디지털의 발달과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학생들의 문해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무운을 빌다’를 ‘운이 없길 바란다’, ‘사흘’을 ‘4일’이라고 해석하는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