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서와 파출소가 없는 섬마을에 대한 범죄 예방과 주민 안전을 위해 전국 처음으로 맞춤형 치안 드론이 전남 고흥에서 떴다.
전남도자치경찰위원회는 전남테크노파크 고흥드론센터에서 ‘고흥경찰서-고흥군 드론합동순찰대’ 발대식을 개최하고 임무수행 시연을 진행했다고 15일 밝혔다.
임무수행 시연은 치안 드론 순찰 중 불법 행위 중인 낚시꾼을 발견 후 경고하는 상황, 쓰레기 무단 소각에 따른 화재 발견 후 119로 인계하는 상황, 산사태 위험 현장 상황의 관제센터 연동 등 다양한 시나리오로 이뤄졌다.
고흥 섬마을 주민들은 “섬 내 경찰관서가 없어 양식장 절도 및 화재 등 주민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치안 드론이 수시로 섬을 순찰하면 보다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겠다”며 드론 합동 순찰대 발대를 반겼다.
전남자치경찰위원회는 섬 지역 치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치안 드론 운용 체계를 기획하고 총사업비 8억원을 들여 지난 7월까지 고흥군, 순천대, 대한항공, 전남테크노파크와 함께 섬 치안 맞춤형 드론을 개발했다.
개발된 치안드론은 장기 체공 가능 하이브리드 드론으로 휘발유 엔진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해 90분 이상 체공이 가능하다. 기존 경찰 드론과는 다른 대형드론으로 내풍성이 강해 바람이 강한 섬 지역에서 안정적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야간순찰에 적합한 열화상·적외선 카메라, 탐조등과 150m 상공에서 정확하게 음성이 전달되는 스피커 등 치안 활동에 적합한 장비를 탑재했다.
드론 합동 순찰대는 이동형 관제차량을 활용해 순찰이 필요한 장소까지 이동 후 경찰관이 쉽게 순찰하지 못하는 섬, 갯벌 등 지역을 순찰하고, 필요 시 고흥군 CCTV 관제센터, 고흥경찰서로 영상을 연동해 현장 상황을 공유하게 된다.
조만형 전남자치경찰위원장은 “고흥경찰서-고흥군 드론 합동 순찰대 발대는 주민-대학-기업-지자체-경찰이 함께 현장에서 치안 문제를 찾고 지역사회가 함께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자치경찰제 취지에 맞는 모범적 사례”라며 “전남자치경찰위원회는 앞으로도 주민 중심, 지역사회 협업 치안, 전남 특성에 맞는 과학치안을 꾸준히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고흥=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