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가져가는 택시(카카오T블루) 수수료율이 기존 5%(최대)에서 3% 이하로 낮춰질 전망이다.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은 지난 13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알파돔 타워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3차 공동체 비상 경영 회의를 주재했다. 1·2차 회의는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서 개최했으나 3차 회의는 카카오모빌리티에서 가졌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비판한 카카오택시 관련 사안에 대해 창업자가 직접 나서 문제 해결 의지를 보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오후 2시에 서울 강남구 역삼동 전국택시연합회관에서 택시 4단체(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 비공개 간담회를, 오후 5시에는 다시 경기도 성남시 판교 소재에서 카카오택시 가맹협의체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일 서울 마포구의 한 북카페에서 비상 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며 “소위 약탈적 가격이라고 해서 돈을 거의 안 받거나 아주 낮은 가격으로 해서 경쟁자를 다 없애버리고, 시장을 완전히 장악한 다음에 독점이 됐을 때 가격을 올려서 받아먹는 것”이라며 카카오택시의 독과점을 공개 비판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 택시 사업은 기사(개인택시)나 택시회사(법인 택시)가 운임 20%를 카카오모빌리티에 수수료로 내는 가맹 계약과 회사가 운임의 15∼17%를 택시 기사·법인 택시에 돌려주는 제휴 계약으로 이뤄져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 등에서 이런 이중구조 계약 방식이 문제로 지적됐다. 올해 금융감독원은 이를 분식회계로 간주하고 카카오모빌리티를 감리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윤 대통령의 질타 직후 비판받아온 가맹 택시 사업 구조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공언했다. 공공재적 성격이 있는 택시의 특수성을 고려해 저렴한 수수료 체계를 구체화·현실화하겠다는 것이다.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 4단체는 이날 간담회에서 연말까지 공정 배차, 수수료 체계·수준, 가맹 운영 구조, 근무 환경 개선 등에 대해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개선안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블루 전국 가맹협의체와의 간담회 직후 가맹 택시 실질 수수료율을 기존 최대 5%에서 3%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업계와 논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