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는 이경규 사장이 13∼15일 인천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을 무대로 직접 뛰는 포트세일즈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장은 인천항·중국 간 물동량 증대와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1위 항만이 자리한 상하이와 중국 주요 크루즈 관광 도시인 칭다오를 취임 후 첫 포트세일즈 대상지로 정했다.
IPA 상하이 대표부가 함께하는 이번 포트세일즈는 인천항 상하이 포럼 및 해운·물류기업 대상 간담회 개최, 상하이 양산항 벤치마킹, 인천·칭다오 간 크루즈항만 및 관광 허브 육성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등으로 이뤄진다.
이날 IPA는 상하이 구베이에서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공동 주관으로 ‘제4회 인천항 상하이 포럼(IPSF 2023)’을 개최하기도 했다. ‘챗 GPT를 활용한 물류혁신’을 주제로 하는 이번 포럼은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포럼에 참석한 국적선사 대표단, 상하이한국국제물류협회(SKIFFA) 회원사,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 임직원 등 100여명은 최신 물류 동향을 공유하고 내년 한·중 물류 시황 전망 등을 논의했다.
이 사장은 포럼 환영사에서 “이번 포럼을 통해 해운물류 기업이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준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는 축사에서 “IPA가 2020년부터 매년 포럼을 통해 물류 분야의 새로운 동향을 전달함으로써 상하이 주재 해운물류 기업들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포럼 종료 후 IPA는 ‘2023년 국적선사 대표단 및 SKIFFA 회원사 간담회’를 통해 상하이 주재 해운·물류 기업으로부터 인천항 이용의 애로사항과 물동량 증대 방안 등 의견을 청취했다.
앞서 포럼 전날 IPA는 2027년 개장 예정인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를 위해 상하이국제항그룹(SIPG)의 양산항 제4기 자동화 부두를 방문, 자동화 야드크레인을 비롯해 무인 안벽크레인, 자동이송장비(AGV), 터미널운영시스템(TOS), 장비제어시스템(ECS) 등 최첨단 항만 시설과 시스템을 벤치마킹했다.
이 사장은 “우리나라 선사 및 포워더 등 해운·물류 관계자들의 도움으로 인천항의 대중국 물동량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천항을 통한 한·중 교역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