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26일 예정된 영국·프랑스 순방에서 돌아온 이후 정부 부처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내년도 예산안 처리 문제다. 예산안의 법정 처리 시한은 다음 달 2일이지만, 여야 대충돌로 벌써부터 예산안 협의가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와 관련해 여권 고위 관계자는 13일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할 장관들을 빼기 위한 개각은 12월 초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은 예산안이 마무리된 뒤 교체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통령실의 개편은 개각보다 빨리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대통령실의 경우 총선 출마가 확정적인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등이 먼저 나가고, 김은혜 홍보수석 등은 조금 뒤에 교체되는 순차 개편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통령실은 인사검증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각·대통령실 개편이 조금씩 늦어지는 것도 인사검증 작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내년 4월에 총선이 실시되는 상황에서 연말 개각에 인사 논란이 터져 나올 경우 여권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면서 “그래서 인사검증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검증작업이 정밀하게 이뤄지면서 검증 초기에 언론에 이름이 거론됐던 일부 인사들은 탈락했다”면서 “지금은 검증에 집중하고 있는 시기라 특정 후보자가 유력하다고 단정 짓기 힘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강승규 수석도 용산 대통령실을 나오는 것은 확정됐으나, 후임 인선에 시간이 걸려 교체가 늦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출마를 위해 장관 자리에서 물러날 인사로는 추경호 부총리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등이 유력하다.
추 부총리 후임으로는 최상목 경제수석이 ‘0순위’로 꼽힌다. 대통령실에서도 한오섭 국정상황실장이 정무수석을 맡고, 이도운 대변인이 홍보수석이 내부승진하는 방안은 사실상 확정됐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실이 과학기술수석비서관과 환경노동수석비서관을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과 환경·노동 분야의 중요성을 감안한 조치다.
이에 따라 현재 ‘2실(비서실·국가안보실)·6수석(국정기획·정무·시민사회·홍보·경제·사회)’ 체제가 ‘2실·8수석’ 체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과학기술수석과 환경노동수석 신설 모두 검토된 것은 맞으나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