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을 모색하지 않고 건강한 경제 관계를 추구하기로 했다. 또 양국 기업과 근로자에게 공평한 경쟁환경을 제공해 양국 국민의 복지를 증진하기로 했다.
10일(현지시간)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나 이 같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미국 재무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중국 당국도 미중 양국이 디커플링을 추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1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만남에서 양측은 공동 해결책 모색 등을 위해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재닛 장관과 허 부총리는 직접적 소통을 지속하기로 했다. 옐런 장관은 지난 7월 첫 방중에 이어 내년에 중국을 다시 방문키로 했다. 허 부총리는 재방문을 환영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옐런 장관은 회담 및 기자회견에서 “양국이 탄력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하는 등 양국 경제를 책임감 있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는 회담에서 특히 의견이 다를 때 심도 있고 솔직하게 토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논의가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간 생산적 만남을 위한 추가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과 허 부총리는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성, 규제 문제, 기후변화, 저소득 및 신흥경제국의 부채 문제 등에 대해서 협력하기로 했다.
다만 미국은 중국의 비시장 정책과 관행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옐런 장관은 회담에서 “건전한 경제 경쟁을 위해서는 규칙에 기반을 둔 공정한 경쟁의 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또 중국의 흑연 등 중요 광물 수출 통제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중국이 러시아 방위산업에 지원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옐런 장관은 “만약 중국 기업이 러시아 방위산업에 지원을 제공할 경우 나쁜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통제 조치와 관련해서는 명확하게 정의된 국가안보 우려에 기반해 목표를 좁게 설정한 가운데 진행된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